본문으로 바로가기

홍보관

[KAB News] 2023년도 한-중앙아시아 표준 협력 포럼 개최
  • 등록일 :2023-11-23
  • 작성자 :홍보담당자
  • 조회수 :1452

%EB%B8%94%EB%A1%9C%EA%B7%B8%EC%84%AC%EB%84%AC2_1280_720_-005.png


올해로 3회차를 맞이한 <한-중앙아 표준 협력 포럼>이 지난 11월 22일 대한민국 구로구 롯데시티호텔 에메랄드룸에서 개최되었습니다.

중앙아시아 표준 체계 지원 및 협력 강화를 위한 이번 포럼에는

카자흐스탄 인정기구(NCA), 우즈베키스탄 인정기구(O'ZAKK) 등 중앙아시아 지역 주요 인정기구들과

국내외 유관기관들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주셨습니다.



IMG_2338.JPGIMG_2341.JPG

<행사 전경>


포럼은 한국어 - 러시아어 동시통역으로 이루어졌으며 중앙아시아측 발표자들의 실시간 발표를 통해서

중앙아시아 지역 표준기술 및 산업계 최신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산업 진출 지원체계 기반을 마련했습니다.



IMG_2356.JPG

<개회사 - 박진서 한국인정지원센터 대표>


중앙아시아 각 국의 인사말로 개회사를 시작한 박진서 한국인정지원센터 대표

본 포럼을 통해 대한민국과 중앙아시아 국가 간의 표준협력을 넘어 산업·경제 협력으로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.

또한 중앙아시아 표준 및 인정 기구와의 지속적인 협력에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



IMG_2383.JPG

<축사 - 정태인 주 투르크매니스탄 前대사>


이어 이어진 정태인 주 투르크매니스탄 前대사의 축사에서는

표준협력 포럼이 세계적 안보와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 감소시키고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

덧붙여 비관세무역장벽, 국가 간 상이한 표준, 새롭게 부상하는 신규 표준 등에 대한 지식을 나누는 장이 되길 소망한다고 말했습니다.



IMG_2415.JPG

<표준기술력향상사업 소개 및 경과 - 홍진의 한국인정지원센터 팀장>

본격적인 발표에 앞서 한국인정지원센터의 홍진의 팀장

표준기술력향상사업의 소개와 온오프라인 인턴십, MOU 체결, 표준 협력 포럼 개최 등

그간의 경과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.


IMG_2428.JPGSE-c0200bff-cb2b-40ca-a4e6-9d9468f4bf69.png
<카자흐스탄 인정기구(NCA) Nurlan Shokbarbayev 부대표의 발표를 듣고 있는 청중(좌) / 실시간 발표를 진행하는 NCA 부대표(우)>

카자흐스탄 인정기구(NCA)의 Nurlan Shokbarbayev 부대표의 발표는

<카자흐스탄 스마트팜 구현>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.

카자흐스탄의 스마트팜 기술 현황과 잠재력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,

대한민국과의 표준 협력 및 경제 협력에 대한 기대를 밝히며 발표를 이어나갔습니다.


IMG_2394.JPG
<발표를 듣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인정기구 소속 인턴십 참가자>


IMG_2439.JPG
<한국 스마트팜 산업 현황 - 유상미 스마트팜연구개발사업단 팀장>

곧이어 유상미 스마트팜연구개발사업단 팀장<한국 스마트팜 산업 현황>라는 주제로 현장 발표를 진행했습니다.

전세계적인 기후환경 위기 및 지속적인 농경지 면적 감소로 인한 식량안보 위기에 대응하여

급성장하고 있는 스마트팜의 현황을 밝힌 뒤, 국내 스마트팜 기술수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였습니다.

이를 기반으로 한 대한민국 스마트팜 산업 동향 및 육성 정책 등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습니다.


IMG_2447.JPG
<우즈베키스탄 기술규제 개혁 - Iminova Sevara 우즈베키스탄 표준청(O'ZTTSA) 수석 전문가>


IMG_2449.JPG
<우즈베키스탄 인정시스템과 MDQMS 신규 인정제도 도입 - Ms.Shakhnoza Yuldashova 우즈베키스탄 인정기구(O'ZAKK) 부대표>

이후, Iminova Sevara 우즈베키스탄 표준청(O'ZTTSA) 수석 전문가<우즈베키스탄의 기술규제 개혁>

Ms.Shakhnoza Yuldashova 우즈베키스탄 인정기구(O'ZAKK) 부대표<우즈베키스탄 인정시스템과 MDQMS 신규 인정제도 도입>

발표가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습니다.

각각 우즈베키스탄의 기술 규정 수립 절차와 규제의 주요 목표,

우즈베키스탄 인정기구 O'ZAKK의 역량과 KAB과의 협력을 통한 신규 인정제도 도입의 기대 효과 등을 발표했습니다.


IMG_2457.JPG
 <MDQMS 인정서비스 도입을 통한 기대효과Saidnazar Djumanazarov 우즈베키스탄 인정기구(O'ZAKK) 평가사>

11월 20일부터 이어진 <KAB-O'ZAKK MDQMS(의료기기경영시스템) 인턴십>에 참여한

우즈베키스탄 평가사 Saidnazar Djumanazarov는 이번 인턴십과 이를 통한 MDQMS 인정서비스 도입이

O'ZAKK, 더 나아가 우즈베키스탄에 어떤 효과를 가져올지 발표했습니다.


IMG_2471.JPG

<한국의 의료기기시장 현황 - 임민혁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본부장>


우즈베키스탄에서 큰 기대를 가지고 있는 MDQMS와 관련한 발표가 이어졌습니다.

임민혁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본부장<한국의 의료기기시장 현황>을 주제로 관련 산업계의 통찰을 공유하였습니다.

발표에는 국내외 의료기기 산업 동향, 주요 수출입 품목, 주요 거래국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겼습니다.


IMG_2504.JPG
<시험인증 빅데이터 플랫폼 소개 및 섬유패션기업 활용 지원 - 이민우 KATRI시험연구원 팀장>

한국인정지원센터가 스마트인정서비스를 도입하였듯이

중앙아시아 지역 인정기구 역시 인정서비스와 IT 기술의 융합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.

이러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, 이민우 KATRI시험연구원 팀장

<시험인증 빅데이터 플랫폼 소개 및 섬유패션기업 활용 지원>이라는 주제로

인증과 IT 기술의 융합, 그리고 '내 손안의 시험인증 서비스(VaroTIC)' 등 KATRI시험연구원의 실제 사례를 발표하였습니다.


IMG_2531.JPG
<글로벌 신산업·신기술 분야 TBT 동향 - 이영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센터장>

마지막 발표는 이영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센터장

<글로벌 신산업·신기술 분야 TBT 동향>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.

보호무역주의의 강화와 디지털 전환, 친환경 강화 등 새로운 경제 질서에 따른 신기술 규제가 도입되고 있으며

이중 산업 중요도가 높은 분야를 선정하여 규제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

덧붙여, 분야별 TBT 동향을 밝히며 관련 지식을 공유했습니다.


%ED%95%9C%EA%B5%AD%EC%9D%B8%EC%A0%95%EC%A7%80%EC%9B%90%EC%84%BC%ED%84%B0_CI_%EC%84%B8%EB%A1%9C%EC%A1%B0%ED%95%A9.png

앞으로도 중앙아시아와의 원활한 표준 협력,

더 나아가 대한민국과 중앙아시아 협력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